개발 방법론11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개발 프로세스의 핵심에는 효율성과 유연성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익스트림 프로그래밍(Extreme Programming, XP)이라는 방법론이 탄생했습니다. XP는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을 강조하는 애자일 방법론의 한 형태로, 빠른 피드백, 지속적인 품질 향상, 고객의 참여, 그리고 끊임없는 학습과 적응을 강조합니다. XP의 주요 원칙 XP는 다섯 가지 주요 가치에 기반을 둡니다: 커뮤니케이션: 팀원 간의 원활한 소통을 강조하여 오해를 최소화하고 목표 달성을 가속화합니다. 단순성: 가장 간단한 설계를 추구하며 불필요한 작업을 피합니다. 피드백: 고객과 팀원으로부터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받아 개선합니다. 용기: 변화에 대한 용기를 가지고 코드를 개선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 2023. 11. 8. 도메인 주도 설계 (DDD: Domain-Driven Design) 정의: DDD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메인 전문가와 개발자가 긴밀하게 협력하여 현실 세계의 문제와 비즈니스 로직을 모델링하는 방식입니다. 기본 개념: Entity: 고유 식별자를 가진 객체.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레코드와 일치. Value Object: 불변의 값을 나타내는 객체. 식별자 없음. Aggregate: 일련의 Entity와 Value Object의 그룹. Repository: Aggregate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메커니즘. Domain Event: 도메인의 중요한 사건이 발생할 때 생성. Service: 도메인 로직을 나타내지만 Entity나 Value Object에 속하지 않는 기능. 장점: 모델 중심: 도메인 로직에 집중, 어플리케이션의 핵심을 명확하게 표현. 품질 향.. 2023. 9. 6. 헥사고날 아키텍처와 어댑터-포트 아키텍처 소개 헥사고날 아키텍처는 어플리케이션의 핵심 로직을 기술적인 세부 사항으로부터 격리시키는 설계 패턴입니다. 이 아키텍처는 중심에 위치한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을 기술적인 세부 사항(예: 프레임워크, UI, 데이터베이스)으로부터 격리시켜 변경에 유연하게 만듭니다. 주요 구성요소 Entity: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하는 도메인 객체입니다. UseCase: 애플리케이션의 유스케이스를 구현하는 로직입니다. Port: 애플리케이션과 외부 세계(예: 웹,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입니다. Incoming Port: 애플리케이션으로 들어오는 요청을 받는 인터페이스입니다. Outgoing Port: 애플리케이션에서 외부로 요청을 보내는 인터페이스입니다. Adapter: 포트를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2023. 9. 5. 이전 1 2 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