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디 작은 나만의 라이브러리23

[주니어 개발자의 두 번째 라이브러리 개발기] 도메인 특화 언어(DSL)을 만들어 보자! DDL-DSL 개발기 -4. 마이그레이션 기능- 저번 편에서는 마이그레이션 기능 구현시 필요한 ALTER와 DROP기능 개발을 살펴 보았습니다.이번 편에서는 DDL-DSL을 사용하는 프로젝트 첫 출시 전, 꼭 필요했던 마이그레이션 기능 개발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마이그레이션의 필요성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되기 마련입니다.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거나, 기존 기능이 수정되면서 테이블과 컬럼의 구조도 함께 변경되어야 하죠.이런 변경사항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특히 제 라이브러리가 사용된 프로젝트가 출시를 앞둠에 따라, 다음과 같은 요구사항들을 충족시켜야 했습니다.스키마 변경 이력 추적실행된 마이그레이션의 성공/실패 여부 확인마이그레이션 버전 관리반복 가능한 마이그레이션 지원마이그레이션 시스템의 구현마이그레이션 기능 개발.. 2025. 2. 15.
[주니어 개발자의 두 번째 라이브러리 개발기] 도메인 특화 언어(DSL)을 만들어 보자! DDL-DSL 개발기 -3. ALTER 및 DROP 구현- 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ㅎㅎ1년차 포트폴리오를 채우자마자 바로 블로그 관리에 너무 소홀해져 버렸네요. 앞선 두 편의 글에서 DDL-DSL 라이브러리의 개발 배경과 CREATE TABLE 구현에 대해 다루었는데요.이번에 제가 만든 DDL-DSL 라이브러리가 적용된 타 팀의 프로젝트가 첫 프로덕션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때문에, 프로덕션에 나가기전 부랴부랴 마이그레이션 기능을 개발중에 있습니다.해서 먼저, 이번 편에서는 마이그레이션시 꼭 필요한 '테이블 구조(칼럼 포함)를 변경하고 삭제하는 기능의 구현'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1. ALTER TABLE 구현1.1 기본 설계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를 변경하는 작업은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특히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각 데이터.. 2025. 2. 13.
[신입 개발자의 '작디 작고 작디 작고 자그만' 첫 라이브러리 제작기] Fin. Bridge-Api의 실제 적용과 개선 효과 안녕하세요!드디어 Bridge-Api 시리즈의 마지막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Bridge-Api를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면서 경험한 개선 효과들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1. 레거시 코드와의 비교1.1 클라이언트 측면레거시 코드:const FUNCTION_NAME = { //... 수십 개의 함수 이름 나열 processCardePayment: "processCardPayment", // ... 수십 개의 함수 이름 나열};const processCardPayment = async () => { return callAndroidFunction(interfaceName, FUNCTION_NAME.processCardePayment);};// ... 모든 함수에 대해 반복적인 래퍼 함수 .. 2025. 1. 5.
[신입 개발자의 '작디 작고 작디 작고 자그만' 첫 라이브러리 제작기] 5. Bridge-Api 파라미터 바인딩 구현 안녕하세요!이번 글에서는 Bridge-Api 라이브러리의 또 다른 핵심 기능인 파라미터 바인딩 구현에 대해 다루어보려고 합니다.파라미터 바인딩은 HTTP 요청의 다양한 부분(경로 변수, 쿼리 파라미터, 요청 본문 등)을 컨트롤러 메서드의 파라미터에 자동으로 매핑해주는 기능입니다.1. 파라미터 바인딩의 필요성Spring과 같은 웹 프레임워크를 사용해보신 분들은 @PathVariable, @RequestParam, @RequestBody 등의 어노테이션이 익숙하실 것입니다. 이러한 어노테이션들은 HTTP 요청의 데이터를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해주죠.Bridge-Api에서도 이와 유사한 기능이 필요했습니다.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구현을 시작했습니다.경로 변수를 쉽게 추출할 수 있어야 함쿼리 파라미터를 자.. 2025. 1.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