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틀린 컬렉션 함수 Partition()
코틀린의 partition() 함수는 컬렉션에 존재하는 원소들을 주어진 조건에 따라 두 개의 컬렉션으로 나눕니다. 이 함수는 Pair 타입을 반환하며, 첫 번째 원소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원소들의 컬렉션, 두 번째 원소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원소들의 컬렉션입니다. 예시 시나리오: 시나리오: 우리는 여러 학생들의 점수 목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점수가 50점 이상인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을 각각 다른 리스트로 분리하고 싶습니다. 예시 코드: fun main() { // 학생들의 점수 리스트 생성 val scores = listOf(45, 88, 39, 100, 76, 42, 90, 55) // partition() 함수를 사용하여 50점 이상과 미만으로 점수를 분리 val (passed, fail..
2023. 8. 29.
코틀린의 콜렉션 연산: take, drop, takeLast, dropLast, takeLastWhile, dropWhile
코틀린에서는 콜렉션의 일부분을 취하거나 버리기 위한 다양한 함수를 제공합니다. 그 중 take(), drop(), takeLast(), dropLast(), takeLastWhile(), dropWhile() 함수들의 사용법과 개념을 살펴보겠습니다. 1. take() 설명: take() 함수는 콜렉션의 처음부터 주어진 수만큼의 요소를 가져옵니다. val numbers = listOf(1, 2, 3, 4, 5) val taken = numbers.take(3) println(taken) // [1, 2, 3] 2. drop() 설명: drop() 함수는 콜렉션의 처음부터 주어진 수만큼의 요소를 제거하고 나머지 요소들을 반환합니다. val numbers = listOf(1, 2, 3, 4, 5) val dr..
2023. 8. 29.
코틀린의 함수형 콜렉션 연산
코틀린은 강력한 함수형 프로그래밍 기능을 지원합니다. 여기서는 map(), filter(), any(), forEach() 네 가지 기본 연산을 다룰 예정입니다. 1. map() 설명: map()은 콜렉션의 각 요소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어진 함수를 각 요소에 적용하여 결과 콜렉션을 생성합니다. 시나리오: 각 숫자를 제곱한 결과를 얻고 싶을 때 val numbers = listOf(1, 2, 3, 4, 5) // map()을 사용하여 각 숫자를 제곱하기 val squaredNumbers = numbers.map { it * it } println(squaredNumbers) // [1, 4, 9, 16, 25] 2. filter() 설명: filter()는 주어진 조건에 맞는 요소만 포함하는 새..
2023.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