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자 컨퍼런스/인프콘 2024

[INFCON 2024 참관기 - 3] 경력이 늘수록 CS이론이 중요해지는 이유

by 시니성 2025. 1. 7.

앞선 두 편의 글에 이어, 이번에는 마지막으로 '널널한 개발자' 최호성 연사님의 "경력이 늘수록 CS이론이 중요해지는 이유" 발표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발표자 소개: 널널한 개발자 최호성님

최호성 연사님은 비전공자로서 30년간의 개발자 경력을 쌓아오신 분입니다. C/C++ 강사, 저자, 개발자로서 다양한 경험을 하셨고, 현재는 '널널한 개발자'라는 이름으로 많은 개발자들에게 조언과 인사이트를 전달하고 계십니다.
구독 ㄱㄱㄱㄱㄱ~
널널한 개발자 TV

 

널널한 개발자 TV

널널한 개발자의 온라인 강의실 입니다.

www.youtube.com

 

저 역시도 비전공자에 부트캠프 출신으로 CS와 Under the hood의 영역에 약점이 있다는 점을 잘 알고있는데요.
초라한 학습 경력 및 실무 경력에 비해 조금은 거시적 시각을 가져야 할 직무를 맡게되면서, 아키텍쳐나 메타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공용 라이브러리 제작에 더 힘을 쓰다보니 지난 1년간 약점을 많이 보완하지 못한 것 같은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하여 올해 목표를 특히 JVM, CS, OS 등 기술의 원론적인 부분을 핥아보기로 마음먹었기에, 연사님의 발표를 정리하는 것의 의미가 제게 더 크게 다가오네요.

그럼 정리 시작해 보겠습니다.

CS이론과 경력자의 흔한 고민

최근 개발자 상담을 통해 자주 접하는 사례

  • 5년 차 이상의 개발자들이 자신의 경력을 '물경력'이라 생각하는 경우
  • 웹 개발은 쉽다는 인식 속에서 느끼는 압박감
  • 트러블 슈팅 시 원인을 찾는 것이 어려움
  • 깊이 있는 CS 지식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대응하는 상황

개발자의 기본기

개발자의 기본기로서 다음과 같은 CS 핵심 영역을 강조

  1. 컴퓨터 구조
  2. 운영체제
  3. 프로그래밍 언어
  4. 자료구조, 알고리즘
  5. 컴파일러
  6. 데이터베이스

다행히 이러한 기본기는 꼭 어릴 때부터 갖춰야 하는 것이 아니라, 경력이 쌓이면서 점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강조하셨습니다.

CS 이론의 실무적 중요성

컴퓨터 구조와 성능

이어서 컴퓨터 구조에 대한 이해가 실제 성능 최적화와 장애 대응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설명해주셨는데요.

  • CPU, 캐시, 메모리, 디스크 간의 속도 차이 이해
  • 입출력 작업의 특성 파악
  • RAID 시스템의 동작 원리
  • 컴파일러 최적화의 이해

운영체제와 동시성

운영체제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 이유도 설명하셨습니다.

  •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이해
  • 동기화와 교착상태 문제 해결
  • 파일 시스템의 동작 원리
  • 메모리 관리와 가상 메모리

결론: CS 이론이 왜 중요한가?

연사님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CS 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

  1. 성능 최적화: 시스템의 병목 현상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필수적
  2. 장애 대응: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능력 향상
  3. 설계 역량: 더 나은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는 기반 제공
  4. 학습 능력 향상: 새로이 유행하는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라 할지라도 원리를 알고 있으면 결국은 비슷비슷한 기술들로 이해와 활용이 용이

마무리

이번 INFCON 2024 참관기를 통해 설계, 디버깅, CS 이론이라는 세 가지 중요한 주제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세 연사님의 발표 모두 개발자로서의 성장에 큰 통찰을 주었습니다.
특히 최호성 연사님의 발표는 단순히 트렌디한 기술을 쫓는 것을 넘어, 기본기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1년차를 넘기고 회고록을 작성하면서, 제가 채워야할 부분이 기초지식이라는 것을 절실히 느꼈기 때문에 올해는 이러한 부분을 채워 더 탄탄한 개발자가 될 생각힙니다.

긴 시리즈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1.05 - [연간 회고록] - 개발 1년차 회고록: 트레이너에서 오프라인 결제 솔루션 개발자로

 

개발 1년차 회고록: 트레이너에서 오프라인 결제 솔루션 개발자로

끝나지 않을 것만 같던 200번의 지원서 제출과 불안한 취준 생활을 뒤로하고, 어느덧 트레이너에서 개발자로 취업한 뒤 1년이라는 시간을 보냈다.개발자로의 전직은 내 인생에서 가장 큰 도전이

shin-e-dog.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