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1

내가 생각하는 데이터, 지식, 지혜, 통찰의 차이 - 지식의 내면화 과정에 대해 - 데이터는 한 번의 인출로 지식이 되고, 반복된 인출로 지혜가 되며, 그들 간의 연결을 통해 통찰로 꽃핀다. 우리는 매일 엄청난 양의 정보를 접합니다.그러나 이 모든 정보가 동일한 가치를 지니는 것은 아닙니다.어떤 것은 스쳐 지나가고, 어떤 것은 우리 안에 자리 잡아 우리를 변화시킵니다.이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요?오늘은 제가 생각하는 데이터, 지식, 지혜, 통찰의 차이와 그 발전 과정에 대한 얕은 깨달음(?)에 대해 글을 쓰려 합니다.지식 내면화의 네 단계데이터: 날것 그대로의 외부 정보데이터는 외부에 존재하는 날 것 그 자체입니다.책에 적힌 글자, 강의에서 들리는 소리, 인터넷에 떠도는 수많은 정보들이 모두 데이터입니다.이것은 아직 내 것이 아닌, 단지 내 감각기관을 통해 접하는 외부의 정보입니다.. 2025. 4. 1.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 - 1]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이란? 바위 위에 지어지는 것은 없습니다. 모든 것은 모래 위에 지어지죠. 하지만 우리는 모래가 바위라고 생각하고 지어야 합니다.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아르헨티나 소설가, 시인, 평론가) 최근에 예~~~전부터 눈독들여왔던 도서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를 읽기 시작했습니다.모든 챕터를 정리하지는 못해도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읽은 내용을 정리해보려 합니다.책 선정 이유저는 경력이 이제 갓 1년 6개월을 넘어가기 시작한 초급 개발자 입니다.그래서 '코딩을 하는 것 그 자체'보다 더 거시적인 시각에서 '개발 문화' 그리고 '장기 프로젝트를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운용하는 방법'에 대한 담론을 얘기하는 이 책이 저한테는 과분한 혹은 저에게는 시기상조인 책일 수 있겠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지금 읽.. 2025. 4. 1.
아 글쎄 제 의도는 그게 아니었다니깐요?! - 하이럼의 법칙 - 개발자로서 API를 설계하거나 라이브러리를 만들 때, 우리는 사용자들이 우리가 문서화한 방식대로만 코드를 사용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바로 이 지점에서 '하이럼의 법칙(Hyrum's Law)'이 등장합니다. "충분히 많은 수의 API 사용자가 있다면, 당신이 계약서에서 무엇을 약속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당신의 시스템에서 관찰 가능한 모든 동작은 누군가에 의해 의존 될 것이다.- 하이럼 라이트(Hyrum Wright)이 글에서는 하이럼의 법칙이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개발자로서 이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하이럼의 법칙이란?하이럼의 법칙은 간단히 말해 "사용자가 많아지면, 문서화된 동작뿐만 아니라 관찰 가능한 모든 동작에 대해 누군가는 의존하게 .. 2025. 3. 31.
안드로이드 앱의 SSL 인증서 오류 트러블슈팅: "Trust anchor for certification path not found" 들어가며개발자라면 한 번쯤 예상치 못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씨름해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이번에 저희 회사의 타 팀에서 신규 솔루션 배포 중 경험한 문제는 "특정 고객사 네트워크에서만 발생하는 SSL 인증서 오류"였습니다.이 글에서는 해당 이슈의 트러블슈팅에 제가 약간의 지원을 해주면서 알게된 것들과 해결책을 공유하고자 합니다.1. 문제 상황1.1 증상저희 회사에서는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고객사(L사)에 제공했습니다.애플리케이션은 HTTPS를 통해 저희 백엔드 서버와 통신합니다.그런데 저희 솔루션이 설치된 고객사의 일부 기기들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연결할 수 없다는 보고가 들어왔습니다.저희가 로그상에서 파악한 오류 메시지는 다음과 같았습니다.외부 API 요청에 실패했습니다. [Tr.. 2025. 3. 24.
728x90